보이스피싱이 점점 더 정교해지면서 특히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 사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았다면, 보이스피싱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신고하는 것이 피해를 예방하는 첫걸음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보이스피싱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방법과 신고 절차, 그리고 피해 발생 시 대처법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보이스피싱 전화번호 확인 방법
보이스피싱 의심 번호 조회하기
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를 받았다면, 해당 번호가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신고 이력이 있는지 조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확인 방법
- 후스콜(Who’s Call) 앱 사용: 보이스피싱 신고 이력이 있는 번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- 경찰청 사이버안전국(www.police.go.kr)에서 조회: 사이버범죄 신고센터에서 의심 번호 검색 가능.
- 금융감독원 사이트(www.fss.or.kr) 이용: 보이스피싱 사례 및 신고된 번호 검색 가능.
- 통신사 고객센터 이용: SKT, KT, LG U+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.

보이스피싱 번호의 대표적인 패턴
- 00-1588-****: 은행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음.
- 00-070-****: 인터넷 전화로 해외에서 걸려오는 사기 전화.
- 00-010-****: 번호 변작 기술을 사용한 사기 전화.
보이스피싱 신고 방법
경찰청 및 금융감독원에 보이스피싱 신고하기
의심스러운 번호로 전화가 오거나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. 아래 기관을 통해 보이스피싱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.
신고 절차
-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신고 (☎182 또는 홈페이지 접속)
- 금융감독원 신고 (☎1332) – 금융 사기 관련 접수.
-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 불법스팸 대응센터 신고 (☎118)
- 이동통신사 고객센터 신고 (SKT, KT, LG U+)
보이스피싱 문자 신고 방법
최근 보이스피싱은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문자 신고 방법
- 불법 스팸 문자 신고 (국번 없이 118)
-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 불법스팸 신고센터 (spam.kisa.or.kr)
- 문자 메시지를 캡처하여 신고 기관에 제출

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시 대처법
계좌 지급정지 신청하기
금전적인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은행에 계좌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합니다.
지급정지 신청 방법
-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지급정지 요청.
- 경찰서 방문 후 피해 신고 및 관련 서류 제출.
- 금융감독원 피해 구제 신청 (☎1332).
스마트폰 보안 설정으로 보이스피싱 예방하기
전화 사기를 예방하려면 스마트폰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
보안 설정 방법
- 스미싱 차단 앱 설치 (후스콜, KT 스팸차단 앱 등)
- 알 수 없는 발신자의 메시지 차단
- 이중 인증 설정 (OTP, 생체 인증 사용)
- 사기 방지 앱 설치: 시티즌코난과 같은 앱 활용.
보이스피싱은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으므로 의심스러운 전화번호를 사전에 확인하고 신고 절차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계좌 지급정지와 경찰 신고를 통해 신속히 대처하세요. 더 많은 사기 예방 정보를 원한다면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을 방문해 보세요!